-
사진기호학2 [야외촬영#1 사진의 시간과 심도][제3회차: 2025.3.26일]-- 평생학습관 --/사진기호학2 2025. 3. 27. 08:05
3회차는 사진기호학2 과정의 첫번째 출사이다.
1. 야외찰영 장소 및 시간
ㅇ 장 소 : 이화(벽화)마을
ㅇ 시 간 : 2025. 3.26일 18:30 ~ 21:00분
ㅇ 미 션 : 공간과 기하학
2. 출사관련 공지 (소명 선생님)
3. 수행과제
사진은 정지된 이미지이지만 다양하게 시간의 흐름을 표현할 수 있는데
기계적특성(저속, 고속, 셔터스피트 등)을 이용한 물리적 시간,
보는 사람이 해석하는 심리적 시간이 있으며
심도를 통하여 작가의 의도를 보여줄 수 있다고 합니다.
벽화로 유명한 이화마을을 출사하면서
물리적 시간보다는 심리적 시간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고민해 봅니다.
이화마을은 한양도성길 4대문 안에 위치한 곳으로
해방이후 일본식 기와지붕을 올린 고급주택이 있었으며
1970년대 동대문 의류사업과 관련하여 가내 봉제공장이 많은 달동네였습니다.
2006년 정주환경개선의 목적으로 시행한 "낙산프로젝트"로
벽화마을로 유명해졌으나, 주민의 불편함으로 일부 벽화는 지워졌다고 합니다.
수행과제는 이화마을의 현재모습에서 과거와 연결된 생각을 하며
여행사진처럼 찍었습니다.
※ 카메라와 렌즈
ㅇ 카메라 : EOS RP (Body)
ㅇ 렌 즈 : RF 50mm F1.8 STM
[ 총평 : 2025. 4.2일]
ㅇ 자기만의 색감을 찾아보자.
ㅇ 나만의 정서적인 느낌을 가지려고 하자.
ㅇ 시간은 상대적 시간이다.
ㅇ 이미지가 사진속에서 어떻게 보여지는 지가 중요하다.
ㅇ 흑백의 사진은 형태를 중심으로 보게 된다.
ㅇ 색감에서 오는 느낌을 느끼자
ㅇ 조명에 의한 색의 그라데이션도 눈여겨 보자
ㅇ 사진에서 시선은 밝은 곳으로 간다.
4. 과제물
※ 선생님이 선택해 주신 사진으로 여행기형식으로 작성해 봅니다.
1) 이화마을 출사를 위해 동대문역에서 한양도성길을 따라 걸어갑니다.
ㅇ 숭례문이 소실되면서 이제는 유일하게 원형이 보존된 흥인지문(동대문)
ㅇ 큰 도로를 따라 DDP건물도 보이고 현대적건물과 잘 어울립니다.
[ F11.0, 1/200, ISO 200 ] ㅇ 보물1호, 한양도성 4대문, 4소문중 유일하게 반달형태의 옹성이 있음
[ F9.0, 1/200, ISO 200 ] 2) 한양도성 성곽길의 풍경
[ F16.0, 1/200, ISO 200 ] [ F16.0, 1/200, ISO 200 ] [ F16.0, 1/250, ISO 200 ] 3) 성곽길을 중심으로 4대문 안은 이화마을, 밖은 창신동
ㅇ 이화마을도 멀리서 보면 산꼭대기까지 이런 형태로 보일 듯 합니다.
[ F6.3, 1/1000, ISO 200 ] 4) 성곽길에서 이화마을 부근의 전봇대와 전기줄, 그리고 급경사 내리막
ㅇ 이화마을은 건축물을 철거하면 마치 다랭이논 형태로 상상되고,
집집마다 좁은 골목길로 거미줄 같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 F14.0, 1/125, ISO 200 ] [ F14.0, 1/125, ISO 200 ] 5) 이화마을을 크게 한번 돌아보면서 만난 이화마을 어머니들
ㅇ 90세~98세인 정정한 어머님들과 마을이야기, 기타 이야기...
ㅇ 어머님들 단골장소이니 이곳이 이화마을 중심지.
[ F10.0, 1/160, ISO 200 ] [ F10.0, 1/160, ISO 200 ] 6) 이화마을 정상부의 전망 좋은 카페
ㅇ 이층 형태의 일본식 기와지붕이 해방이후 고급주택 이었던 듯..
[ F14.0, 1/160, ISO 200 ] ㅇ 밤에는 서울시내 야경도 멋질 듯 하네요.
[ F2.8, 1/160, ISO 800, 수동초점 ] ㅇ 일본식 기와지붕 건물
[ F2.5, 1/160, ISO 800, 수동초점 ] 7) 정상부에서 이화마을 내려가는 길은 급경사길
ㅇ 일본식 기와지붕과 남아있는 벽화
[ F13.0, 1/200, ISO 200 ] ㅇ 주민거주지 안내판이 자주 보입니다. 쉿!
ㅇ 예전에는 계단에 꽃그림이 있었는데 지워졌다 합니다.
[ F16.0, 1/200, ISO 200 ] ㅇ 계단모양으로 설치된 에어컨은 주거용일까, 작업용일까?
[ F16.0, 1/320, ISO 200 ] ㅇ 벽화와 더불어 소형 조형물도 자주 보입니다.
[ F2.2, 1/2500, ISO 200 ] 8) 계단길을 내려와 시내방향으로 계속 내려오면 급한 경사를 오르기 위한
회전로터리 같은 곳으로 이화마을 입구 느낌이 있었습니다.
[ F8.0, 1/160, ISO 200 ] 9) 회전로터리 굴다리 밑에서 이화마을 과거와 연결된 벽화를 봅니다.
ㅇ 재봉하는 모습같아요
[ F5.6, 1/160, ISO 200 ] [ F9.0, 1/160, ISO 200 ] 10) 다시 올라가서 또 다른 급경사 계단
ㅇ 계단길 앞에 물고기 그림이 벽화로 있습니다.
[ F18.0, 1/160, ISO 200 ] ㅇ 지워진 그림을 상상하며 다중촬영으로 넣어 봤어요.
[ F5.6, 1/5, ISO 800, 다중촬영 ] 11) 성곽길 야경을 보고 싶어 다시 정상부 카페로 올라갔습니다.
[ F3.2, 1/160, ISO 800, 수동초점] 12) 서울에서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이화마을을 뒤로 하고
한양도성 성곽길을 따라 화려한 불빛이 있는 곳으로 내려갑니다.
※ 다음에는 삼각대를 준비해서 멋지게 찍고 싶어요.^^
[ F1.8, 1/50, ISO 800 ] '-- 평생학습관 -- > 사진기호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기호학2 [야외촬영#2 사진의 키(Key)와 톤(Tone)] (2025.4.5일) (0) 2025.04.05 사진기호학2 [ 사진의 키(Key)와 톤(Tone) ] (4회차: 2025.4.2일) (0) 2025.04.03 사진기호학2 [ 사진의 시간과 심도 ] [2회차: 2025.3.19일] (0) 2025.03.20 사진기호학2 [ 오리엔테이션 ] [ 1회차: 2025.3.12일 ] (0)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