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기호학2 [ 오리엔테이션 ] [ 1회차: 2025.3.12일 ]-- 평생학습관 --/사진기호학2 2025. 3. 19. 11:47
2025년 상반기 사진강의 두번째는 사진기호학 두번째 과정이다.
수업일정은 2025.3.12 ~ 2025.7.30일까지 20주간으로 시행된다.
3월12일 첫수업을 들어가니 대부분 지난 강의에 이어 신청하셨고
3분정도가 새로 오셨는데 기존에 다른곳에서 수업을 받으셨다.
지난 학기의 사진기호학의 두번째 강의가 되는 것이다.
아직도 아리송한 사진기호학의 도상, 상징, 지표를 다시 한번
설명해 주신 다음, 강의계획서를 공유하였다.
1. 도상(Icon), 상징(Symbol), 지표(Index) : 지난 학기 자료
먼저 기표와 기의를 정의해 봅니다. (ChatGPT)
기표와 기의는 기호학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기호가 어떻게 의미를 생성하는지 설명하는 이론의 근간을 이룹니다.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의 기호학 이론에서 제시되었으며,
기호는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로 구성된다고 설명합니다.
기표는 우리가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호의 물리적 형태나 표현입니다.
즉, 기호가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형식적 요소를 뜻합니다.
이는 문자, 소리, 이미지, 몸짓 등 어떤 형태로든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와 같이 "사과의 사진"같이 특정이미지 자체가 기표입니다.
또한 한글 '사과'의 단어도 시각적 형태의 기표에 해당합니다.
기의는 기표가 가리키는 개념이나 의미를 뜻합니다.
즉, 기호가 지칭하는 실체적 개념, 정신적 이미지 또는 아이디어입니다.
기표가 물리적 표현이라면, 기의는 그 표현을 통해 우리가 떠올리는
추상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의 단어를 듣거나 글자를 보면 떠오르는 개념이 기의입니다.
1) 도상
ㅇ 기표와 기의가 유사합니다
ㅇ 시각적 정보를 담기위해 촬영하며 실증적이고 현실적입니다.
ㅇ 광고사진, 기록사진이 해당합니다.
ㅇ 예로 교통 표지판, 화장실 남.여표시 등가 같이 있는 그대로 인식
2) 상징
ㅇ 기표와 기의의 관계에 유사성이 없다.
ㅇ 이미지로 보편적인 의미를 전달합니다.
ㅇ 작가의 의도나 배워야 아는 것이고 관습적인 것도 포함됩니다.
ㅇ 추상화는 대부분 상징을 의미합니다.
ㅇ 예로 언어, 숫자, 국기, 교통신호 등 학습을 해야만 아는 것입니다.
3) 지표
ㅇ 기표와 기의사이에 필연적인 인과관계가 있다.
ㅇ 관념적이나 추론적입니다.
ㅇ 예로 연기와 불, 전화벨과 전화가 왔다.
※ 우리가 사진을 보고 도상, 상징, 지표에 해당하는 것을 알아야
사진을 기호학으로 분석하면서 어떻게 해석을 해야하는지,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강의계획서
'-- 평생학습관 -- > 사진기호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기호학2 [야외촬영#2 사진의 키(Key)와 톤(Tone)] (2025.4.5일) (0) 2025.04.05 사진기호학2 [ 사진의 키(Key)와 톤(Tone) ] (4회차: 2025.4.2일) (0) 2025.04.03 사진기호학2 [야외촬영#1 사진의 시간과 심도][제3회차: 2025.3.26일] (0) 2025.03.27 사진기호학2 [ 사진의 시간과 심도 ] [2회차: 2025.3.19일] (0)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