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
-
[ 설악산 ] 노적봉 (2025.7.21일)강원지역/설악산 2025. 7. 22. 08:02
금일 산행은 토왕성폭포가 보고 싶었다.토왕성폭포를 가장 잘 볼 수 있고, 아직 산행하지 못했던 노적봉으로 간다.노적봉은 암릉산행코스이고 나같은 뚜벅이가 가기에는 조금 부담이 된다.산행하기 전에 노적봉 오름길과 노적봉 하산길의 로프구간이 걱정이 되어비상용으로 웰빙띠(테이프로프) 15m를 준비해서 산행을 한다. 산행코스는 설악산 소공원 ~ 육담폭포.비룡폭포 ~토왕성폭포전망대에서노적봉 4봉 초입으로 올라 노적봉(3봉)을 다녀온 후 노적봉 정상(4봉)을 올랐다.정상에서 하산한 다음 노적봉의 풍경을 확인하기 위하여 노적봉(5봉)을 왕복한 후소토왕골로 하산하여 소공원으로 원점산행을 하였다. 1. 산행일자 : 2025.7.21일 06:00 ~ 14:50분2. 산 행 자 : 산모듬(자차이용)3. 산행정보 및 기타 ..
-
[ 설악산 ] 천당릿지 (2025.7.10일)강원지역/설악산 2025. 7. 11. 15:45
금주 산행은 지난번 만경대 산행에서 대청봉방향으로 보았던 풍경을 정리하고천불동계곡의 전망대라고 할 수 있는 천당릿지를 산행한다.보통 천당릿지를 워킹산행으로 할 경우양폭 ~ 음폭골(음폭) ~ 염주골(염주폭포) ~ 천당릿지(4봉) ~ (5봉,6봉 우회) ~천당릿지(7봉) ~ 8봉 ~ 천당문 ~ 천불동계곡(설악01-13)에서 무너미고개 방향목재교량을 경로로 한다. 금일 산행은 계곡산행이 부담스러워 천불동계곡(설악01-13)을 지나 목재교량에서천당릿지를 진입하여 천당릿지(4봉)까지 왕복산행 후 소공원으로 원점산행하였다. 1. 산행일시 : 2025.7.10일 (07:05 ~ 18:50분)2. 산 행 자 : 산모듬(자차이용)3. 산행정보 및 기타 1) 천당릿지 산행은 급경사, 들떠있는 돌, 산행로의 불명확으..
-
[ 설악산 ] 외설악 만경대 집중탐구 (2025. 6.30일)강원지역/설악산 2025. 7. 1. 18:15
금주 산행은 외설악의 만경대를 처음으로 찾아본다.만경대를 산행하면서 금일 들머리 2개소 (양폭대피소, 양폭)와만경대에서 이어지는 별길능선, 북능, 화채능선을 확인하였다. 1. 산행일자 : 2025.6.30일 05:25 ~ 17:20분2. 산 행 자 : 산모듬(자차이용)3. 산행정보 및 기타 1) 양폭대피소에서 만경대를 오르는 방법은 2가지이다. (사진참조) ※ 양폭대피소 교량 건너기 전, 양폭 폭포하단 2) 만경대는 크게 3가지 능선(별길, 북능, 화채능선)이 합류하므로 만경대를 산행할 경우 모두 돌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 개인적으로는 만경대별길이 좋았다.^^ 3) 비,눈이 내린 경우 위험요소가 많아 산행에 유의하여야 한다. ※ 만경대..
-
[ 설악산 ] 송암산, 둔전계곡 (2025.6.18일)강원지역/설악산 2025. 6. 19. 07:34
금일 산행은 설악산 화채능선과 관모능선 사이로 동해바다로 흘러가는물치천을 형성하는 능선봉우리의 하나인 송암산과물치천의 최상류 둔전계곡의 일부를 계곡산행한다. 둔전골은 설악산 안내도에서6개의 지계곡 (너래골, 쇠꼬전골, 청렴골, 매봉골, 아홉살골, 직골, 원골)과높은산님의 산행지도에서5개의 지계곡 (토골, 학수암골, 백호골, 쥐골, 아홉사리골)이 있어지계곡만 11개가 있는 큰 계곡이다. 그래서 둔전계곡이라 하고 싶다.^^ 산행코스는 설악저수지(둔전저수지) 옆 진전사에서 미답지인 송암산을 오른 후에백호단을 경유하여 둔전계곡에 도착(마지막민가)하여 둔전폭포까지계곡과 사면길로 왕복산행한 다음 진전사로 원점산행하였다. 둔전계곡은 설악산의 또 하나의 명품계곡이라 하고 싶다.^^ [ 설악산 둔전골 개념도 ] 1...
-
[ 설악산 ] 신흥사 ~ 황철북봉 ~ 울산바위능선 (2025.6.13일)강원지역/설악산 2025. 6. 14. 12:28
금일 산행은 외설악의 계곡 경계를 돌아보는 산행이다.외설악은 3개의 큰 계곡(천불동계곡, 저항령계곡, 내원암골)이 있다.계곡의 경계는 미시령 ~ 대청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에서울산바위능선, 황철북봉능선, 마등봉능선, 화채봉능선으로 구분이 되어진다. 미답으로 남아있는 황철북봉능선을 산행하였으며산행코스는 소공원 ~ 신흥사 ~ 황철북봉 ~ 울산바위입구 ~ 소공원이다.황철북봉능선의 조망은 좋았지만 더위에 지치고 산행길이 힘든 하루였다. [ 외설악 계곡의 수계 ] 1. 산행일자 : 2025.6.13일 04:50 ~ 19:102. 산 행 자 : 산모듬(자차이용)3. 산행정보(황철북봉 능선) 및 기타 1) 신흥사에서 바로 올라가는 지점을 찾기가 힘들다. ※ 금일 안양암 방향으로 적당한 곳에서..
-
설악산 백담계곡의 이해 (2025.6.8일)강원지역/설악산 2025. 6. 8. 19:15
이번에 산행한 황철서능선과 음지골 좌능선을 마치고백담계곡에 대한 이해를 정리하고자 한다.순수 개인의 정리임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백담계곡은 설악산 대청봉에서 시작하여 백담마을까지의 물줄기로지형도상 영실천이라 불리우며 북천에 합류되어소양강 ~ 북한강 ~ 한강으로 유입된다.상류지역은 가야동계곡과 구곡담계곡, 중류지역은 수렴동계곡,하류지역은 백담계곡으로 구분하고 있다. [ 백담계곡의 유역 ] 1. 백담계곡의 유역 백담계곡은 백두대간구간 (황철봉 ~ 대청봉 ~ 한계령삼거리)와 서북능선구간 (한계령삼거리 ~ 안산갈림길), 그리고 음지골좌능선과 황철서능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야동계곡과 구곡담계곡은 수렴동대피소에서 만나며 두 계곡은 용아장성능선으로 구분된다. 대청봉에서 시작하는..
-
설악산 "명승" 소개강원지역/설악산 2025. 6. 8. 08:39
오늘은 설악산에서 "명승"으로 지정된 10곳을 소개하기로 합니다. "명승"의 지정은 "국가유산청" [ https://www.khs.go.kr/main.html ]이 관리하는데현재 국가유산청에 소개된 명승의 목록은 138건이며설악산에 해당하는 명승은 10곳(전체의 7.2%)입니다. ㅇ 공룡능선 ㅇ 내설악 만경대 ㅇ 대승폭포 ㅇ 비룡폭포 계곡 일원 ㅇ 수렴동.구곡담 계곡 일원 ㅇ 십이선녀탕 일원 ㅇ 용아장성 ㅇ 울산바위 ㅇ 천불동계곡 일원 ㅇ 토왕성폭포 설악산에서 명승으로 지정된 곳은 최소한 가보고 싶은데현재 용아장성, 내설악 만경대, 토왕성폭포는 출입이 허용되지 않네요.ㅠㅠ명승으로 지정된 곳을 보존.관리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나국민이 향휴할 수 있도록 필요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
-
[설악산] 음지골 좌능선 ~ 대한민국봉 ~ 안산옛길 (2025.6.5일)강원지역/설악산 2025. 6. 6. 11:36
금일 산행은 설악산 내설악 백담계곡의 수계를 마무리하는 산행이다.백담계곡의 수계는 황철서능선(비탐) ~ 저항봉능선(비탐) ~ 공룡능선 ~ 대청봉 ~서북능선 ~ 음지골 좌능선(비탐)으로 이어지며 능선을 모두 돌아보면서내설악의 계곡과 능선을 이해하려고 하였다. [ 백담계곡의 수계 ] 1. 산행일자 : 2025. 6. 5일 06:37 ~ 17:12분2. 산 행 자 : 산모듬 (자차+대중교통이용)3. 산행정보 및 기타 1) 음지골 좌능선은 음지골입구~1241봉(아니오골 경계능선)이나 편의를 위하여 음지골입구 ~ 서북능선 대승령갈림길(설악11-07)로 한다. 2) 음지골 좌능선은 792.3봉을 제외하고는 그리 전망이 좋지 못하므로 능선산행보다는 음지골 하산을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