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기호학2 [ 사진의 시간과 심도 ] [2회차: 2025.3.19일]-- 평생학습관 --/사진기호학2 2025. 3. 20. 20:16
금주는 사진의 시간과 심도의 내용으로
사진의 총괄적 의미를 살펴보고 사진의 시간과 심도를 강의하였다.
1. 사진의 특성
1) 내적특성
ㅇ 현실성 : 기록성, 현장성, 발견의 예술
ㅇ 우연성 : 극복해야 할 특성, 다량의 작업을 통해 기계와 교감
※ 많은 사진을 찍으면 의도하지 않는 좋은 결과도 있다.
ㅇ 고립성 : 시간과 공간의 단편,
리얼리티라는 한계를 작가의 의도로 극복
※ 인천상륙작전 사진은 실제로 인천의 사진이 아니다.
2) 외적특성
ㅇ 복제성 : 현실의 복제와 재현
3차원에서 2차원으로 치환
※ 판화처럼 복제성에 대한 극복을 한다. (Vintage edition)
수량을 한정하는 등 오래되어도 가치있는 것으로 한다.
ㅇ 자동성 :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한 결과물
컨셉트가 중요한 이유
2. 사진의 선택 (사진을 찍을 때 생각해 보자 )
1)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 4면을 보자
2) 피사체 가까이 더 가라. --- 몸으로 한 발 더 다가가자.
3)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보라. --- 360도 돌려보자 (불필요한 부분 처리)
4) 배경을 확인한다. --- 배경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결정
5) 광선 상태를 확인한다. --- 하늘은 되도록 넣지 말자
6) 실험정신을 발휘하자. --- 극단적노출, 극단적 앵글, 극단적 시선
7) 보여주기 보다는 감추는 이미지 표현. --- 관객의 탐구심 유도
3. 사진의 종류
1) Pictorial Photography (회화적 사진, 기법적 사진)
구성, 배치 등을 연출한 사진으로 작가의 상상력과 철학을 표현한다.
예술사진, 광고사진 등이 있다.
2) Straight Photography (사진적 사진, 기계적 사진)
있는 그대로의 사진으로 기록성과 현장성의 표현이다.
보도사진, 자료사진 등이 있다.
4. 사진의 비평 (사진이론가 테리 베렛)
1) 작품의 형식을 관찰한다.
2) 작품의 물리적, 정신적 요소를 깊이 관찰한다.
3) 무엇에 대한 사진인가?
무엇을 전달하려 하는가?
※ 사진을 감상할 때 멀리서 보고, 가까이 가서 보고, 다시 돌아와 설명을 듣고
다시 사진을 보면 조금더 사진을 이해하지 않을까?
[ 사진의 시간 ] ※ 지난 학기 내용과 동일
1. 기계적 시간
1) 고속촬영 : 짮은 순간의 움직임을 정지시켜 표현
2) 저속촬영 : 피사체의 움직임을 물 흐르듯이 표현
3) 셔터스피드를 이용한 다양한 촬영방법
A. 블러(Blur) : 좌우로...
피사체나 카메라의 움직임에 의한 잔상효과를 표현하는 방법
B. 패닝(Panning shot)
피사체와 같은 방향, 같은 속도로 움직임을 따라가며 촬영하는 방법
C. 줌인(Zooming)
줌렌즈를 빠르게 돌려 촬영하는 방법
D. 스핀(Spin shot)
렌즈가 아닌 바디를 빠르게 돌려 촬영하는 방법
E. 틸팅(Tilting) : 상하로...
블러의 일종이나 블러보다는 세밀한 느낌의 사진
2. 심리적 시간
ㅇ " 모든 예술은 인간의 존재를 기초로 하는데,
유독 사진만이 인간의 부재로부터 기초한다 " -- 앙드레 바쟁
ㅇ 인식, 직관, 관념을 통한 시간의 표상
" 모든 변화는 시간과 더불어, 시간을 기저로 하여, 시간을 통해 형성한다 "
-- 소광희 <시간의 철학적 성질>
[ 사진의 심도 ]
사진의 심도는 조리개 값과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정해지며
조리개 값이 f값이 작을 수록 심도가 얕고, 높을 수록 심도가 깊다.
예전 사진의 심도를 정리한 내용으로 대신한다.
https://yb1004kwon.tistory.com/730
사진촬영과 표현 (심도에 관련 내용들...) [2024.4.7일]
첫번째 야외출사를 다녀와 직접촬영 후에 심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다. 내용은 검증이 되지 않은 것이라 향후 선생님에게 물어보기로 한다. 사진을 촬영할 때 크게 두가지를 생각해야한다. 바
yb1004kwon.tistory.com
1. 심도가 얕다. (아웃포커스)
아련한 사진
정보의 층위 약화
작은 정보로 소통이 어려움
정서적, 감성적
예술사진, 순수사진
2. 심도가 깊다 (팬포커스)
선명한 사진
정보의 층위 확대
정보성의 소통 용의
건조하고 이성적
보도사진, 다큐멘터리 사진
사진의 작품으로는
자연주의 사진 (에머슨의 시계이론), 픽토리얼 살롱사진 (앨빈 랭던 코번),
팬포커스 미학사진(f64그룹),
스트레이트 사진 (알프레드 스티글리치, 토마스 스트루스) 등을 살펴보았다.
[ 야외촬영#1 : 이화마을 ]
ㅇ 촬영일자 : 2025. 3.26일 18:30분
'-- 평생학습관 -- > 사진기호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기호학2 [야외촬영#2 사진의 키(Key)와 톤(Tone)] (2025.4.5일) (0) 2025.04.05 사진기호학2 [ 사진의 키(Key)와 톤(Tone) ] (4회차: 2025.4.2일) (0) 2025.04.03 사진기호학2 [야외촬영#1 사진의 시간과 심도][제3회차: 2025.3.26일] (0) 2025.03.27 사진기호학2 [ 오리엔테이션 ] [ 1회차: 2025.3.12일 ] (0)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