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기타 --
-
일출 정보에 대한 공부 (일출시간 및 방향, 2024년 수정)-- 산행기타 -- 2023. 5. 18. 11:01
일출정보에 대한 공부는 작년에 쓴 아래의 글을 확인바랍니다.^^ 2024년에는 어디서 일출을 볼까? 작년하고 비슷하죠.^^ 1. 2024년 북한산기준 월별 일출방향 북한산에서 새해 일출을 볼 경우 검단산과 예봉산 사이로 해가 떠오릅니다.^^ [ 참고적으로 도봉산에서 본 다면?? ] 같은 방법으로 일출의 방위각을 잡으면 불암산(좌측)과 운길산(좌측)으로 해가 떠오릅니다. [ 아래의 표는 2024년 일출,일몰의 시간과 방위각입니다 ] [ 이글을 먼저 보세요..^^ ] 가끔식 일출을 보러 갈 때 궁금한 것이 있다. 1. 해가 언제 뜨지 ? 2. 해는 오늘 어느 방향에서 떠오를까? 사실 단순한 일출이라면 해뜨기 20분전에 도착해서 가장 붉게 물드는 방향을 보고 있으면 그 쪽으로 해가 떠오른다. 그런데 내가 어떤..
-
기억에 남을 산행사진 [ 2023년 ]-- 산행기타 -- 2023. 1. 31. 06:40
올해도 멋진 기대를 하면서 2021.2022년에 이어 2023년 기록을 시작한다. 14. 지리산 남부능선 [ 2023.10.23일 ] 영신봉 운장바위, 창불대, 세석평전의 단풍과 삼신봉에서 바라보는 지리주능선 13. 가야동계곡 [ 2023.10.11일 ] 12. 설악산 곡백운 [ 2023.10.5일 ] 11. 점봉산, 타조바위 [ 2023.9.28일 ] 타조바위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풍경 10. 마등령, 저항봉, 황철봉, 울산바위의 특별한 풍경 마등령 오름길의 설악산 일출과 마등봉의 뛰어난 전망이 기억에 남는다. 저항봉에서 바라보는 저항령의 풍경은 무척이나 인상적이었으며, 울산바위를 서측에서 바라보는 풍경도 매우 좋았다. 9. 도봉산 오..
-
내가 산행 할 때 하는 산행준비물의 정리-- 산행기타 -- 2023. 1. 25. 07:45
지인들이 자주 질문하는 산행 준비물에 대하여 급하게 간략히 정리해 본다. 이것는 내가 산행하는 방법이니 전문적인 내용과는 차이가 있다. 참고로 나는 땀이 많이 흘리는 타입이다. 1. 산행시 운행 장비 1) 등산화 등산화 목길이가 적어도 복숭아뼈를 충분히 덮는 중등산화 정도의 신발을 사계절 신는다. A 신발무게는 한쪽 당 700g 정도 B 등산화는 매장에서 신어봐야 한다. 등산화를 신어보면 딱 나에게 맞는 신발이 있다. 그리고 비,눈이 내려도 신발 안쪽은 항상 건조한 상태가 되는 좋은 신발 신어라. C 목이 긴 등산화는 상단고리에서 약3번째 아래 등산화 중간에 발목을 확실히 잡아주는 등산화 고리가 있다. 여기를 등산화 끈으로 확실히 매어주고 위로 밀어 올려주어야 한다. 이것을 안하면 발목이 고정이 안되고 ..
-
재미삼아 해보는 산행의 강도(난이도?) 분류-- 산행기타 -- 2022. 5. 10. 19:42
퇴직 후 노후의 치매방지를 위하여 방송통신대학 통계.데이터학과를 다니고 있다.^^ 사실 기존의 전공이나 해왔던 분야와 다른 아주 생소한 공부이지만 그래도 대학생 기분도 나고, 정말 내가 좋아하는 것이 어느 것일까? 하는 원초적인 궁금증을 찾아가는 첫 단계로 생각한다. (이 분야가 아니면 다른 것도 찾아봐야지.ㅋ) 오늘은 3학년 과정에 있는 회귀분석이란 과목을 이용하여 산행의 강도를 분류해 본다. 완전 재미삼아 하는 것이다.ㅎㅎ (1) 삼성 헬스 앱 산행을 하면 나는 삼성헬스앱에서 "운동"의 "걷기" mode로 기록을 참조한다. 여기에는 진행하는 경로와 더불어 아래의 기록들을 보여준다. 운동시간, 거리, 운동칼로리, 걸음수, 평균페이스, 고도, 누적고도 등이 있다. 삼성헬스 앱을 사용한 2020.8월부터 ..
-
산행기 작성방법 (2022.1.31)-- 산행기타 -- 2022. 1. 31. 16:32
인터넷에서 산행기를 작성하는 방법이 궁금한 지인을 위하여 작성합니다. (정사장님.ㅎ) 사실 산행기를 쓰는 목적은 개인에 따라 관점이 매우 다릅니다. 그래서 제가 산행기를 쓰는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기본적인 것을 정리하면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1. 산행기에 대한 저의 생각 1) 산행기를 쓰려고 마음 먹으면 사전준비,산행계획,도상(지면) 산행을 해야합니다. -- 산행지에 대한 정보, 산행경로(들머리/날머리), 산행포인트, 산행시간, 교통정보 등 산행을 준비하는 시간도 항상 즐거움을 가져다 줍니다. 2) 산행기는 글로도 쓸 수있고 사진으로도 기록을 남길 수 있습니다. -- 글재주가 없는 나는 사진을 통하여 산행기록을 남기고 싶어 마음에 드는 풍경을 하나라도 놓치고 싶지 않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