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출 정보에 대한 공부 (일출시간 및 방향, 2024년 수정)
    -- 산행기타 -- 2023. 5. 18. 11:01

    일출정보에 대한 공부는 작년에 쓴 아래의 글을 확인바랍니다.^^

    2024년에는 어디서 일출을 볼까?

    작년하고 비슷하죠.^^

     

    1. 2024년 북한산기준 월별 일출방향

       북한산에서 새해 일출을 볼 경우 검단산과 예봉산 사이로 해가 떠오릅니다.^^

     

    [ 참고적으로 도봉산에서 본 다면?? ]

    같은 방법으로 일출의 방위각을 잡으면 불암산(좌측)과 운길산(좌측)으로 해가 떠오릅니다.

     

    [ 아래의 표는 2024년 일출,일몰의 시간과 방위각입니다 ]

     

     

    [ 이글을 먼저 보세요..^^ ]

    가끔식 일출을 보러 갈 때 궁금한 것이 있다.

    1. 해가 언제 뜨지 ?

    2. 해는 오늘 어느 방향에서 떠오를까?

     

    사실 단순한 일출이라면 해뜨기 20분전에 도착해서 가장 붉게 물드는

    방향을 보고 있으면 그 쪽으로 해가 떠오른다.

    그런데 내가 어떤 위치에서 마음이 드는 풍경이 있고

    일출이 내가 원하는 풍경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떠오르는 것을 보고 싶다면

    언제 일출을 보러가는 것이 궁금한 경우도 있다.^^

    오늘은 이것에 대하여 공부해 보자!!! (공부한 것이니 틀릴 수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북한산 백운대의 2023년 일출 시간 및 방향은 아래와 같을 것이다 ]

      ※ 아마도 금일 2023.5.18일 경우 수락산 우측방향으로 일출이 보였을 것이다..^^

      ※ 일출 정보를 어떻게 알아보는지 정리해 본다. 

     

    [ 일출 정보의 확인 ]

    1. 일출 정보는 [한국천문연구원]을 이용한다.

    2. 한국천문연구원을 들어가면 우측 하단에 아래 메뉴에서 [천문우주지식정보] 

     

    3. [한국천문연구원] -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 속 천문학]

     

    4. 여기서 월별 해/달 출몰시각을 들어가면... 

     

    5. 지역별 일출시각을 제공한다.  서울지역을 클릭해 보자.

        ※ 이 화면이 기상청의 해뜨는시각 정보의 화면이다.

     

    6. 들어가면 서울지역 년월일별 일출정보가 조회가 된다.

        ※ 예를 들어 금일 5.18일은 일출이 05:21분이다..^^

     

    7. 그러면 일출방향과 관련된 정보는 어떻게 알아볼까?

        1) 좌측 메뉴의 태양고도/방위각계산 메뉴를 이용한다.

        2) 우측 검색내용을 [요청시각의 태양위치자료]와 [시간입력: 미리 알아본 일출시간 입력]

            [위치입력: 북한산 백운대와 근접한 도선사로 입력하였다]  검색하면...

        

     

    8. 아래의 정보가 확인된다.

        ※ 고도가 지평선에 가까운 것이 확인되고, 중요한 방위각 정보가 있다. (방위각 약65도) 

        ※ 방위각 정보가 일출이 떠오르는 방향이 된다.!!

     

    9. 위의 정보를 매월1일을 검색하여 정리해 본 것이다.

        1) 방위각에 대한 이해

            방위각은 우측 그림과 같이 북쪽(방위각0도)부터 시계방향으로 360도 돌린 것을 의미한다.

            ※ 북(방위각0, 방위각360), 동(방위각90), 남(방위각180), 서(방위각270)인 것이다.

        2) 예를 들어 2023.1.1일 새해 일출은 방위각이 119도 이다.

            즉, 동쪽에서 남쪽으로 29도 아래의 방향에서 일출이 올라왔을 것이다.

        3) 가장 빠른 일출시간 2023.6.10일 인 경우 방위각60도 이다.

            즉, 동쪽에서 북쪽방향으로 30도 위 방향에서 일출이 올라왔을 것이다.

        ※ 이것을 알면 수평거리 1일 경우의 수직거리(비율)을 알 수 있으므로 지도에 표기하면 된다.

            ★ 방위각(60~120도)에 대한 수직비율은 우측 연두색부분을 참고하세요.

     

    10. 위의 결과를 다음 지도에 표기한 것이다.

          1) 북한산 백운대를 기준으로 편의상 15km 위치에 수직선을 그리고..

          2) 방위각에 따른 수직거리를 구하여 지도에 표시한 다음..

          3) 북한산 백운대에서 직선으로 연결하면 해가 뜨는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 

       ※ 2023.5월달은 수락산 우측에서 해가 떠오름을 예상한다..^^

     

    [ 활용 ]

    1) 산행을 하면서 일출풍경이 멋진 장소를 상상한 경우가 있을 것이다.

    2) 낮 시간에 일출을 예상하고 사진을 찍은 다음 가장 어울리는 일출방향을 정하자.

    3) 일출 방향을 지도에 표시하고 방위각을 계산하면 가장 최적의 날짜를 추정할 수가 있다.

     

    [주의할 점]

    만약 북한산 백운대와 비슷한 위치 예를 들어 북한산 만경대로 할 경우는

    일출방향이 비슷하므로 위의 지도의 백운대 위치를 만경대로 이동시키고

    해의 방향은 동일한 방위각으로 지도에서 수평/수직이동하면 되겠다. (지구와 태양은 무지 멀지요..^^)

     

    참으로 쓸데없이 궁금한 것이 많은 산모듬이었습니다.ㅎㅎ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