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 찍어서 비교하는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평생학습관 --/사진관련 개인자료 및 출사 2025. 3. 31. 22:24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는 실제 보이는 색과 카메라로 찍는 색이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이것의 기준점은 주어진 조건에서 "하얀색을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예전에 제가 ChatGPT로 정리한 내용을 먼저 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https://yb1004kwon.tistory.com/790
캘빈값(색온도)에 대하여 ChatGPT
사진에서 이야기하는 "캘빈 값"은 색온도(Color Temperature)를 의미합니다.주로 조명과 사진 촬영에서 색조의 따뜻함 또는 차가움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색온도는 **캘빈 단위(K)**로 측정
yb1004kwon.tistory.com
[ 화이트밸런스의 이해 ]
※ 내가 사진을 보며 이해하는 것으로 내용이 부정확 할 수도 있습니다.
사진을 찍으면서 사진의 색감이 실제보는 것과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색감을 가지려면 어떻게 해야하고,
내가 표현하고 싶은 색상이 있으면 어떻게 조정하여 촬영할 것인지 공부합니다.
빛의 삼원색을 프린트하여 모든 조건에서 촬영된 사진을 비교해보며
화이트밸런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화이트밸런스는 현재 촬영조건에서 "하얀색을 하얗게" 보이는 색온도(기준단계)를
정확하게 설정할때 가장 자연스러운 색상으로 촬영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현재의 색온도와 다르게 설정할 경우 카메라는 색온도의 차이로 인식하여
색상을 보정하여 조정함에 따라 자연스런 색상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정확한 색온도를 알고 있으면 촬영하는 사람이 원하는 색상으로
의도적으로 강조하거나 조정하여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의 색온도(기준단계)를 측정하는 방법은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WB( AWB) 자동모드로 촬영하여 예측하거나
그레이카드, 휘도계, 조도계 등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번에는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WB( AWB:자동) 모드를 이용해 보고
향후에 필요하면 기계적인 방법도 검토할 생각이다.
카메라에서 화이트밸런스를 지원하는 기능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화이트밸런스 지원모드 : AWB(자동), 태양광, 그늘, 흐림, 텅스텐광, 백색 형광등
2) 캘빈값(K) : 2,500K ~ 10,000K까지 직접입력
3) INFO메뉴 : [ X, Y ]좌표를 설정하여 색상 조정
ㅇ X축은 A(Red?), B(Blue) : A9 ~ A1, 0, B1 ~ B9까지 9단계
ㅇ Y축은 G(Green), M(Magenta) : G9 ~ G1, 0, M1 ~ M9까지 9단계
[ 사진의 비교 ]
1. 빛의 삼원색의 촬영
※ 집의 거실에서 흰색종이 위에 빛의 삼원색을 프린터로 출력하여 찍었습니다.
ㅇ F2.5, 1/200, ISO800, 노출 EV+1.0 --- 비교사진은 모두 동일한 조건
2. 화이트밸런스
화이트밸런스(WB)를 자동모드(AWB)로 촬영한 후에 지원모드인
그늘, 흐림, 태양광, 텅스텐광, 백열 형광등으로 촬영된 사진과 비교하여 봅니다.
1) 자동모드와 비슷한 색상은 WB(그늘)모드로 보입니다.
※ 카메라는 현재조건의 색온도를 약7,000K로 인식
2) 현재 색온도로 인식하는 WB(그늘)보다 흐림→태양광→ 텅스텐→백열등으로 진행하면서
푸른색이 더 강화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색온도를 낮게(빨강색) 인식하므로 푸른색으로 보정하려고 함.
3. 캘빈값 조정 ( 2500K ~ 10000K )
캘빈값을 2,500K ~ 10,000K범위에서 1000K 간격으로 찍어봅니다.
1) 9장의 사진에서 캘빈값 7500K를 중심으로
캘빈값이 낮은 방향은 푸른색, 높은 방향은 붉은색이 강화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캘빈값으로 측정하면 화이트밸런스가 맞는 색온도는 7500K
2) 현재의 조건보다 낮은 색온도로 설정할 경우는 푸른색을 강화하고
높은 색온도로 설정할 경우 붉은색을 강화합니다.
4. 색상조정
색상조정 기능을 사용하여 좌표위치를 중심점 [ 0,0 ]과
X축의 좌,우 끝지점, Y축의 상,하 끝지점을 촬영하여 비교합니다.
1) 아무런 보정을 하지않는 [ 0,0 ]으로 할 경우 흰색종이가 푸른색이 조금 보입니다.
※ 현재 색온도가 태양광 5500K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푸른색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A9,0]으로 촬영하면
푸른색의 영향이 없어지고 흰색종이가 회색에 가깝게 보입니다.
4. 화이트밸런스의 이해
1) 사진으로 비교할 경우 WB(자동)으로 설정한 현장의 색온도가 유사한 것은
WB(그늘,7000K), 캘빈값(7500K), 색상조정 [A9,0]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현장의 색온도는 7000K ~ 7500K로 판단합니다.
2) 현장의 색온도 7000K ~7500K를 기준으로
화이트밸런스의 색온도를 낮게 설정할 경우는 푸른색이 강화되고
색온도를 높게 설정할 경우는 붉은색이 강화됩니다.
'-- 평생학습관 -- > 사진관련 개인자료 및 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번째 카메라 삼각대 구매 및 촬영 에피소드 (0) 2025.04.06 캐논카메라 픽쳐스타일 공부 (0) 2024.12.16 나의 첫 개인출사 (남양주 물의정원) [ 2024.11.18일 ] (0) 2024.11.18 사진에 대한 좋은 내용 (0) 2024.11.08 캘빈값(색온도)에 대하여 ChatGPT (2) 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