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의 노출-- 평생학습관 --/사진관련 개인자료 및 출사 2025. 4. 18. 17:44
노출은 조리개, 셔터속도, 감도(ISO)를 가지고 조절합니다.
노출이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강도(밝기)를 의미한다고 하면
조리개와 셔터속도가 주요 요인이고
ISO는 센서의 민감도와 관련이 있으니
조리개와 셔터속도의 폭을 넓게 해주는 요인인 것 같습니다.
1. 조리개
조리개는 렌즈에 빛이 들어오는 크기이므로 빛의 강도를 결정합니다.
조리개의 값이 작으면 빛이 들어오는 크기가 커서 빛의 양이 많아집니다.
F값으로 표기되며 기본 1스톱 단위는 2의 제곱근인 약1.414 간격입니다.
1스톱 간격으로 빛의 양이 2배 차이가 됩니다.
F1.4, F2.0, F2.8, F4.0, F5.6, F8, F11, F16, F22, F32, F45, F64...
내가 가지고 있는 렌즈는 F22까지 가능하며
조리개 1스톱 사이의 간격을 1/3스톱으로 나누어져 있다.
2. 셔터속도
셔터속도는 조리개가 열리는 시간으로 빛이 들어오는 시간을 결정합니다.
셔터속도가 작으면 빛이 적게 들어옵니다.
셔터속도의 기본 1스톱 단위는 분모의 크기가 약2배 간격입니다.
1스톱 간격으로 빛의 양이 2배 차이가 됩니다.
1"(1초), 1/2, 1/4, 1/8, 1/15, 1/30, 1/60, 1/125, 1/250, 1/500, 1/1000,
1/2000, 1/4000, 1/8000, 1/16000......
셔터속도는 카메라의 BODY와 관련이 있으며
내가 가지고 있는 캐논 EOS RP 기종은 셔터속도가 최대 1/4000이고
셔터속도 1스톱 사이의 간격을 1/3스톱으로 나누어져 있다.
셔터속도가 빠를 수록 좋은 BODY의 카메라라고 합니다.
3. 등가노출
노출은 조리개(빛의강도) * 셔터속도(시간)이므로
노출이 동일하게 되는 조리개와 셔터속도의 조합이 1스톱 간격이며
동일한 노출을 가지는 조합을 등가노출이라고 한다.
만약에 프레임이 F5.6, 1/250로 적정노출을 가지고 있으면
조리개를 1스톱 높여 F8로 하고 셔터속도를 1스톱 낮추어 1/125로 하면
동일한 노출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등가노출은 2스톱을 조정하면 F11, 1/60, 3스톱.... 계속할 수 있다.
현재 나오는 미러리스카메라인 경우 적정노출은 뷰파인더를 보면 나오므로
위의 내용을 꼭 기억할 필요는 없으나
1스톱 단위의 개념은 노출의 원리로 알아두는 것이 좋을 듯 하다.
4. 노출의 측정
미러리스카메라는 카메라에 내장된 노출계로 측정을 한다.
렌즈로 들어오는 광선의 평균적인 톤이 18% 반사율의 회색이 되도록
노출을 측정하여 계기판에 표기한다. (0은 적정, +는 과다, -는 과소)
그런데 노출을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적정노출이 달라지므로
노출 측정방법을 알고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1) 평가측광 (평균측광방식)
화면에 들어오는 노출의 평균을 적용하나
초점이 맞추어진 부분을 보정하여 노출의 조정한다.
2) 부분측광
화면 중앙영역의 약5.5%를 커버하여 측정한다.
3) 스팟측광
화면 중앙영역의 약2.7%를 커버하여 측정한다.
4) 중앙중점평균측광
화면에 들어오는 노출의 평균을 적용하나
화면 중앙부에 좀 더 집중하여 측정한다.
평가측광방식은 초점이 맞추어진 영역을 기준하고
나머지는 화면의 영역으로 측정한다.
반셔터 기능 및 노출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적정한 노출을 적용해야 한다.
5. 노출의 결과 확인 (히스토그램)
사진촬영 즉시 노출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히스토그램이 있다.
좌측(완전한 블랙 0), 중간(회색은 128), 우측(완전 흰색은 255)의 정보로
해당하는 화소의 빈도를 세로축으로 표시한 것이다.
아래의 예를 보고 사진이 담고있는 노출정보를 알 수가 있다.
좌측으로 많이 있으면 어둡고, 우측으로 몰려 있으면 밝은 이미지이다.
1) 보통 콘트라스트는 어두운 부분부터 밝은 부분까지 골고루 펴져있다.
2) 높은 콘트라스트는 양끝으로 몰려있고 가운데가 비어있다.
3) 낮은 콘트라스트는 가운데로 몰려있고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에는
화소수가 별로 없다.
일반적으로 화소들이 전체범위에 고르게 흩어져 있고
좌우측으로 잘려 나간 듯한 현상(클리핑)이 없으면 정확한 노출이라고 하나
노출의 정보를 가지고 노출브라케팅을 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본다.
※ 클리핑은 완전 흰색, 검은색의 빈도이므로
색상의 수정이 안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6.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숫자
ISO숫자는 필름이나 센서가 빛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알려준다.
숫자가 높을수록 더 적은 빛으로도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개와 셔터속도로 적정노출의 빛의 강도를 맞추기가 어려울 경우
ISO숫자를 높여 적정노출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광량이 적을수록, 감도를 높게 설정할수록, 긴노출의 셔터시간은
사진에서 더 많은 노이즈가 발생한다.
7. 필터
렌즈에 필터를 사용하면 센서에 도달하는 빛을 바꿀 수 있다
필터에 대하여는 향후에 사용하면 정리하도록 한다.
[ 결론 ]
사진에서의 노출이란
조리개, 셔터속도, 감도(ISO)를 조합하여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강도(밝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프레임 안에 담긴 피사체를 어느정도의 빛으로 전달할 것인가의 선택이다.
'-- 평생학습관 -- > 사진관련 개인자료 및 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PHOTOGRAPHY) 책에 수록된 사진목록 (0) 2025.04.27 사진의 빛과색 (0) 2025.04.19 PHOTOGRAPHY(사진) 책을 구입하다. (0) 2025.04.16 마중물캠프 [인줌예줌 사진여행 (경남합천)] (2025.4.13일) (0) 2025.04.13 첫번째 카메라 삼각대 구매 및 촬영 에피소드 (0)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