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리산] 성삼재~중산리 종주 계획/Review (2022.6.16~6.17일)
    호남지역/지리산 2022. 6. 18. 11:40

    산행기와는 별도로 산행계획 및 실제 산행한 것을 비교하여 정리한다.

    산행기는 1일차, 2일차로 구분하여 작성합니다.

    https://yb1004kwon.tistory.com/597

     

    하늘이 멋진 지리산 능선(세석대피소~천왕봉) [2일차:2022.6.17]

    지리산 주능선을 오늘에서야 산행을 한다. 약30년전에 총각일때는 매년 여름휴가를 맞이하여서는 매년 2박3일로 지리산을 산행하였다. 그 당시는 뱀사골로 하여 중산리로 내려오는 코스가 나의

    yb1004kwon.tistory.com

    https://yb1004kwon.tistory.com/596

     

    인생 처음 지리산 능선 (성삼재~세석대피소) [1일차:2022.6.16]

    지리산 주능선을 오늘에서야 산행을 한다. 약30년전 총각일때는 매년 여름휴가를 맞이하여서는 매년 2박3일로 지리산을 산행하였다. 그 당시는 뱀사골로 하여 중산리로 내려오는 코스가 나의 단

    yb1004kwon.tistory.com


    ○ 산행일자 : 2022. 6.16(목) ~ 6.17(금)
    ○ 산행코스 : 성삼재 ~ 세석대피소(1박) ~ 천왕봉 ~ 중산리
    ○ 산행계획 (진행했던 사항 정리)
       1) 산행코스와 대피소 계획 및 확정 [ 산행시간 및 화식(식사)시간을 감안 ]
       2) 국립공원예약통합시스템을 이용 해당일에 대피소 선착순 예약!!  [ 노력과 간절함 필요..^^ ]
       3) 교통편(버스,KTX 등)과 탐방예약제(노고단)를 예약한다.
       4) 동행인이 있다면 기본적인(버너,코펠, 주부식) 물품을 배분하고 준비
       5) 출발전 1시간정도 일찍만나 준비물 확인 및 협의하여 행동식 구매 후 출발~~~

    1. 산행코스와 대피소 안내도

       (1) 개략적인 성중종주(성삼재~중산리) 산행지도 입니다.


       (2) 주능선의 산행시간은 중간휴식이 포함된 시간으로 안내도가 거의 맞는다.

             ※ 대피소 위치마다 산행가능시간을 확인해야 한다. (단, 대피소 예약자는 2시간의 여유를 준다)

       (3) 추가로 고민할 사항
             1) 노고단 정상을 갈 것인가? 
                  - 소요시간(왕복: 약30~40분), 거리(왕복1.7km)
                  - 노고단정상개방: 05:00 ~ 16:00 [사전예약제]
             2) 반야봉을 다녀올 것인가?
                 - 소요시간(왕복: 약2시간), 거리(왕복2.0km)
       (4) 화식(버너사용)을 할 경우 시행시마다 1시간을 추가로 감안해야 한다.

       (5) 중산리로 하산할 경우 중산리탐방센터 ~ 시외버스정류장은 30분(1.9km)를 감안해야 한다.

    [ 내가 만약 다시 한다면... ]

      (1) 성삼재휴게소는 무인편의점(따뜻한음료+컵라면 등)을 운영하므로

           사전 준비한 아침식사나 편의점 음식을 이용하여 식사와 휴식을 추천한다!!

      (2) 성삼재휴게소에서 출발시간은 노고단탐방과 관련이 있다.

           1) 노고단탐방시간은 05:00부터 이므로 성삼재~노고단탐방센터 산행시간 1시간을 고려

               출발시간을 정하면 된다. (성삼재휴게소 03:50분 출발 추천)

               ※ 이곳이 중요한 이유는 산행안내도(1시간)와 개인의 산행속도를 체크할 수 있다.

           2) 노고단탐방을 하지 않을 경우  성삼재휴게소에서 식사 후 바로 출발 (03:30분)

               ※ 노고단탐방에 비하여 시간적 여유가 약1시간정도 여유가 생긴다.

                   이럴 경우 개인의 체력을 감안하여 반야봉을 경유하는 코스도 고려할 수 있다.

      (3) 성삼재에서 출발할 경우 연하천대피소(노고단에서 5시간)는 체력관리에 매우 중요한 지점이다.

            ※ 개인적으로 이곳에서 화식을 이용한 식사와 휴식을 추천한다. 


    2. 교통이동 (버스+KTX)

       심야버스와 KTX를 이용할 경우 아래의 순서로 이동한다.

      (1) 동서울터미널 ~ 성삼재  (요금 37,800원, 3시간10분 소요)
            - 금일 :  6.16일 23:00 출발 , 6.17일 03:10 성삼재 휴게소 도착
      (2) 중산리 시외버스정류장 ~ 진주 시외버스터미널 (요금 6,700원, 1시간10분소요)
            - 금일 : 6.17일 16:00 출발,  17:10분 도착

            - 중산리 출발시간표 :  14:05, 16:00, 17:50, 19:50
      (3) 진주 시외버스터미널 ~ 진주역(KTX) : 택시 (8,500원, 20분소요)
      (4) 진주역(KTX) ~ 서울역 [ KTX이용 (요금 57,600원 ]
           - 금일 : 6.17일 20:05 출발,  23:35분 도착

             ※ 서울 도착시간이 매우 늦어 서울역이후 연계교통 수단이 어렵다.!!

           - KTX 진주~서울 출발시간표 : 월~목 (17:37), 금,토,일(17:37, 20:05)

    [ 내가 만약 다시 한다면.... (2024.5월 업데이트) ]

      (1) 내려가는 교통은 심야버스가 좋을 것 같으며,

           올라오는 교통은  KTX 또는 버스가 있으나 버스를 추천하고 싶다.^^

      (2)  KTX(진주~서울) : 17:37분 출발 (서울 도착 21:03분)

            1) 도착 후 대중교통 용이하며 모든 요일에 이용할 수 있다. (20:05분은 금,토,일)

            2) 열차시간을 맞추려면 중산리에서 14:05분차를 무조건 이용해야 함!!!   

                 ※ 중산리탐방센터~중산리시외버스정류장 30분 소요를 감안하여

                     중산리탐방센터(산행안내도)에 13:30분 이전에 도착하여야 한다.

                 ※ 산행안내도에서 중산리탐방센터까지 시간을 고려할 경우

                     장터목대피소(5시간), 세석대피소(7시간)을 감안하여 대피소 출발시간 결정.

                     즉, 세석대피소를 이용할 경우 6시30분 전에는 출발하여야 한다.!!

     (3) 버스이용 [ 업데이트: 2024.5월 ]

          중산리에서 진주는 원지터미널을 경유하니 원지터미널이 최소시간이다.

          원지터미널~서울남부터미널의 오후 버스시간표는 다음과 같다.

           ※ 중산리~진주 버스( 14:05, 16:00, 17:50, 19:50 )는 원지를 경유하므로 

              소요시간(40~45분) 정도를 감안하여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3. 대피소 이용시 참고사항
       (1) 대피소는 사전예약제 (매월 1,16일 선착순 예약: 국립공원예약통합시스템)
            [예시] 6.16일 대피소 예약은 6.1일 10:00분 선착순 예약 (6.16~6.30일 사용기간)
                  ※ 인당 2명을 할 수 있으며 대피소입장시 신분증 확인함.
      (2) 대피소 판매품목 (가급적 적극 이용!!, 판매품목은 공지사항을 반드시 확인!!)
           생수, 햇반, 부탄가스, 화장지, 우의 등 (사이트 참조)

           ※ 햇반의 지급방법이 대피소마다 다르다. (세석: 렌지 데워줌, 연하천: 판매만)
           ※ 현재 모포, 침낭은 대여 안함
      (3) 핸드폰 충전시설 있음(전기콘센트), 식수 있음 (대피소외 임걸령, 선비샘)
      (4) 대피소 도착시간은 19:00분 까지 (가급적 18:00분까지는 입장 추천)

    4. 배낭꾸리기

        장거리 산행에서는 배낭의 무게는 산행의 성공과 직결된다.!!

        배낭의 무게를 분산하려면 2인이상이 좋다.^^ 

     

       (1) 배낭의 무게는 10kg이내 (금일 32리터 배낭사용)
       (2) 화식을 할 것인가? 
             - 개인적으로 당일 점심, 당일 저녁, 익일 아침은 화식을 추천함.
       (3) 의류 : 당일, 익일, 귀경시 필요한 의류 준비 (윈드자켓은 봄,가을용)
       (4) 식수는 1리터면 충분합니다. (대피소 및 샘물 이용)
            ※ 금번 산행시에 저는 거의 배낭안에 있는 식수는 거의 먹지 않았네요.ㅎ
       (5) 기타 해드랜턴, 수저, 응급약품 등은 개인취향에 맞게...

       ※ 결국 기본적으로 코펠+의류가 부피를 차지하고, 화식을 이용하는
           식단 및 반찬이 무게를 좌우하게 된다. (최대한 대피소 품목 활용)

    [ 배낭의 무게를 최소화하려면...(식단준비에 대한 개인생각) ]

      (1) 2일 동안 라면만 먹어도 된다.^^  (개당 90g)

           1) 화식 3끼를 할 경우 라면3개, 햇반(대피소구매), 코펠/버너 1조

               ※ 배고프면 햇반을 더 사면 된다. (햇반은 렌지를 안해도 끊여먹어도 된다)

               ※ 전투식량이나 조리식품은 라면보다는 무게가 더 있다.

           2) 반찬 (락엔락 포장에 1종류: 무우말랭이 등)

      (2) 여유가 있다면 코펠2조로 해서 식사할 동안 따뜻한 물을 끓여 커피 한잔..^^

      

    ★ 맛있고, 취향껏 즐기려면 체력을 키우자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