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호학2 [ 사진의 크기와 방향 ] (제12회차: 2025.5.28일)
금회 주제는 사진의 크기와 방향이다.
1. 사진의 활용
사진이 발견된 것은 1839년. 약30년이 흐른 뒤에
1865년 ~ 1884년 경, 미국의 서부 개척시대에 일조를 하였다.
서부탐사대와 함께 지질학 조사, 지형학 측량 등으로
객관적 지표를 위한 측량과 측정의 도구로서의 사진
사진가는 티모시 오 설리반, 알렉산더 가드너, 윌리엄 헨리 잭슨이 있다.
크기는 상대적 크기를 비교하여 판단과 판별을 하였다.
2. 사진의 크기 (Scale)
1) 심리적 스케일
ㅇ 소외, 권력, 빈부 격차
ㅇ 차이의 비교를 통한 상대적 박탈감 또는 왜소함
ㅇ 루이스 하인의 사진들
※ 근로기준법과 아동학대금지법 등의 제정에 기여하였다.
2) 물리적 스케일
ㅇ 웅장함, 경이로움
ㅇ 자연이나 건축물
ㅇ 리처드 미즈락 <연대기>, 1975~2004
3) 사진 소개
ㅇ 현대인이 자본에 의해 지배당하는 비교 (작은사람과 큰 거래건물)
ㅇ 국가권력의 표현 (퍼레이드의 제목으로 큰 국기가 사진에 포함)
ㅇ 상대적 크기 비교 (사람과 바위 등)
ㅇ 어린아이의 노동착취
ㅇ 환경적인 사진 (오염된 환경과 대비되는 풍경 들)
3. 크기(Scale)와 사진
사진은 크기를 보여주지 않는다.
단지 관계들만을 보여줄 뿐이다.
사진은 절대적인 크기를 드러내지 않는다.
상대적인 크기를 보여줄 뿐이고, 미루어 짐작될 뿐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세상의 어떤 것도 자체의 크기 따윈 없으며
오직 다른 것과 비교해서 어림된다는 사실이다.
--- 필립 퍼키스 <사진 강의 노트>, 눈빛출판서, 박태희 옮김 ---
4. "방향"이란
ㅇ 어떤 방향을 향한 쪽
ㅇ 어떤 뜻이나 현상이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는 쪽
ㅇ 지각적 각도, 신체적, 물리적, 심리적 동향이나 의사, 의향
※ 랄프 깁슨 <향성 Tropism> (1987)
생물의 향성, 굴성 표현
연결, 같은 모양, 크기, 부분과 전체, 안과 밖이 조응하는 지향
심리적, 지각적, 심리적인 시지각의 운동성과 물성을 결합
사진소개로 방향성, 심미적코드, 사회적코드에 대한 사진을 소개하였음.
인물에서는 시선의 방향이 특이 중요함
프레임의 방향성도 있음
[ 야외출사 계획: 강남역 ]
출사예정일 : 2025.6.4일
강남역이 개인별로 어떤 기억들이 있고
강남역의 특징은 어떤 것으로 할까? 등을 생각하면서
가급적 심리적방향을 표현하되 안되면 물리적방향도 해본다.
※ 앞으로 글만 있는 페이지는 대표사진을 넣어보자. (국립중앙박물과 황동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