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설악산

설악산 주변 버스노선 [ 사례와 정보를 정리해 보자.^^ ]

산모듬 2023. 10. 1. 00:03

지금까지는 등산 입구와 출구가 다를 경우 택시를 이용하였는데

앞으로 설악산 산행을 지속하려면 대중교통을 함께 이용하는 방법으로 해야겠다.

 

1. 설악산 등산코스와 관련된 버스정류장 ( 6개 )

    ○ 서북능선 : 남교리(십이선녀탕 계곡), 장수대(대승폭포), 한계령휴게소,

                        오색(버스정류장, ※오색등산로입구, 흘림골은 제외)

    ○ 백담사(수렴동계곡, 봉정암, 오세암) : 백담사입구

    ○ 외설악(공룡능선, 울산바위, 토왕성폭포) : 설악동

 

  1) 등산로입구와 거리가 있는 정류장은 오색, 백담사입구 정류장이다.

       ○ 오색버스정류장

          ※ 오색터미널(버스정류장)에서 오색등산로입구는 약1.2km 거리에 있다.

          ※ 주차장은 아래의 장소에 보통 주차한다.

              (오색상가주차장은 무료이나 식당이용객에 한정한다)

 

  ○ 백담사입구 주차장

     ※ 백담사의 셔틀버스는 백담매표소에서 승차,하차를 한다.

         (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백담매표소에서 백담입구터미널은 1.1km 거리다)

     ※ 주차장은 백담매표소나 무인주차장을 이용한다.

 

 

2. 동서울터미널을 출발/도착으로 하는 대중교통(시외버스)

    설악산 관련 시외버스노선은 두개의 노선이 있다.

    ○ 동서울 ~ 간성/거진/대진 노선 : 남교리, 백담사입구

        [ 동서울 ~ 원통 ~ 남교 ~ 백담 ~ ......~간성/거진/대진 ]

    ○ 동서울 ~ 속초 노선 : 장수대, 한계령, 오색

        [ 동서울 ~ 원통 ~ 장수대 ~ 한계령 ~ 오색 ~ 양양 ~ 낙산 ~ 물치 ~ 속초 ]

    ※ 설악동은 시외버스 노선이 없으므로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1) 동서울 ~ 간성/거진/대진 (남교리,백담사) 운행시간

      ○ 가장 빠른 시간 : 첫차 (06:49분)

         ※ 운행시간이 약2시간 소요되어 산행가능시간은 08:50분 이후이다.

 

 

      ○ 가장 늦은 시간

          - 백담사입구 (거진출발 18:15분)

            ※ 운행시간을 감안하여 적어도 19:00분 이전까지 대기 

         - 남교리 (거진출발 17:15분)

            ※ 운행시간을 감안하여 적어도 17:45분 이전까지 대기

 

 

  2) 동서울 ~ 속초 (장수대, 한계령, 오색) 운행시간    

      ○ 가장 빠른 시간 : 첫차 (06:30분)

         ※ 운행시간이 한계령기준 약2시간 소요되어 산행가능시간은 08:30분 이후이다.

 

 

      ○ 가장 늦은 시간

          - 장수대, 한계령, 오색 (속초출발 18:30분)

            ※ 운행시간을 감안하여 정류장별로 충분한 시간에 대기

          - 장수대, 한계령, 오색을 경유하지 않는 마지막차 (속초출발 21:00분)

 

      ○ 중간경유지 오색터미널 버스시간표 (속초~동서울 시간표와 동일)

          ※ 경유지는 오색터미널, 오색등산로입구(대청봉), 흘림골, 한계령, 장수대

        

 

       ○ 중간경유지 한계령휴게소 버스시간표 (속초~동서울 시간표와 동일)

          ※ 한계령~원통 마을버스는 운행방향 및 아침시간을 확인하여야 한다.

 

 

       ○ 중간경유지 원통터미널 버스시간표 (2025.6.5일 현재)

          ※ 원통터미널은 속초방향(장수대, 한계령, 오색)과

               거진방향 (남교리, 백담사)노선이 함께 통과한다.

 

 

 

3. 설악산 주변정류장의 시내버스, 마을버스 노선

    시내버스, 마을버스 노선은 원통과 양양/속초 두개지역으로 나누어 진다.

    원통지역은 인제하늘내린마을버스와 시내버스가 운영되고

    양양/속초 지역은 오색, 설악동 두개의 노선이 있다.

 

  (1) 원통지역 시내버스, 마을버스 노선

     1) 인제하늘내린마을버스

         인제 ~ 원통 ~ 장수대 ~ 한계령 ~ 필레약수 ~ 인제를 순환하는 버스이다.

         원통~한계령방향(필례약수)과 반대방향(원통1)의 두개의 노선이 있다.

 

        ※ 원통터미널에서 장수대,한계령 방향의 첫차는 07:20분이다.

        ※ 한계령, 장수대에서 원통방향 막차는 한계령(19:08분), 장수대(19:16분이다)

 

 

    2) 원통지역 마을버스

         ① 원통터미널 ~ 백담사(남교리)방향 : 백담사입구 기준          

 

 

         ② 백담사(남교리) ~ 원통방향  : 백담마을 기준

 

 

  (2) 속초/양양지역 시내버스 노선

     1) 설악동 시내버스

         속초 7, 7-1번 노선이 07:20분 ~ 20:35분까지 15~20분간격으로 운영된다.

         ※ 속초~동서울 시외버스 노선 정류장인 물치항(30분소요), 시외버스터미널(60분)을

             경유하므로 시외버스 시간에 맞추어 정류장 하차위치를 정하면 된다.

 

         [ 설악동버스시간표와 그외 시간표 : 2024.8.22일 ]

 

 

     2) 오색지역 시내버스

         오색지역의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속초~동서울(18:30분) 시외버스를 오색에서 이용하지 못한 경우이다.

         즉, 19:30분 이후의 사항으로 속초~동서울 마지막차(21:00분)를 이용하여야 한다.

         오색에서 시내버스를 이용 속초시외버스터미널은 1시간20분정도 소요되므로

         시내버스 이용은 시간이 촉박하므로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위의 정보들을 조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설악산 산행을 계획하는 것도 좋으며

특히 자차+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좋을 듯 하다.

개략적으로 보면 동서울 ~ 설악산 산행 ~ 동서울터미널을 계획하면

첫차를 이용할 경우 09:00(산행시작) ~ 19:00(산행종료, 버스탑승) 정도의

시간이 가능하므로 산행시간은 9시간이내의 코스로 하면 될 것 같다.

 

산행을 시행하면서 다양한 운영사례를 이것을 바탕으로 해보고싶다.^^

 

[ 사례1 ]  한계령 ~ 곡백운계곡 ~ 백담사  (2023.10.5일, 자차 + 대중교통)

  ○ 구리 ~ 원통 자차이용

  ○ 07:20  원통버스터미널 인제하늘내린마을버스 탑승 (요금 카드900원)

  ○ 07:50  한계령휴게소 도착 (장수대 07:40분 통과)  ※ 산행시작

  ○ 07:55 ~ 17:25  곡백운을 경유하여 백담사 도착 ※ 산행종료

  ○ 18:45  백담사입구 버스터미널 (고양행 시외버스: 마지막차) 탑승

                ※ 원통(요금2,400원) , 동서울노선도 비슷한 시간에 마지막차 있음

                ※ 같은 버스정류장에서 시내버스 5,5-1노선으로 원통이동 가능

  ○ 19:00  원통버스터미널 도착  ※ 이후 자차로 구리이동

 

[ 사례2 ]  용대초등학교(구만교) ~ 음지골 좌능선 ~ 장수대  (2025.6.5일, 자차 + 대중교통)

  ○ 구리 ~ 구만2교 자차이용

  ○ 17:20  장수대 동서울고속버스 탑승 (요금 카드2000원) ※카드 안되는 차량 있음

  ○ 17:50  원통버스터미널 도착

  ○ 18:40  인제5번버스(진부령) 탑승

  ○ 19:10  용대초등학교(구만교) 하차  ※ 구만2교까지 도보이동, 이후 자차이용

  ※ 십이선녀탕, 백담사방향은 동일한 패턴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